감리교회는 개인 구원과 사회구원의 조화를 믿는 교회로서 그리스도인의 복음 체험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사회참여를 통해 복된 사회를 이루어 하나님의 뜻이 실현된 인류사회를 추구하는 교회가 되고자 했다. 교회는 기독교 복음 선교가 시작된 19세기말 우리 민족의 사회적 요구에 따라 사회선교 및 의료, 구제 사업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였다. 이는 1884년 6월 미선교사 맥클레이 박사가 고종께 “병원과 학교사업”을 해도 좋다는 윤허를 받아냄에 따라 의사나 교사의 신분으로 한국에 들어와 외래종교에 대해 부정적인 선입견을 제거하고 사랑과 봉사의 사역을 통해 복음을 전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감리교 최초의 의료선교사 스크랜턴은 1885년 9월 정동 사택에서 환자를 진료하기 시작했고, 이듬해 정부에서 ‘시병원(施病院)’을 지어 감리교 의료선교사업을 지원하였다. 1887년 10월 하워드에 의해 시작된 한국최초 여성병원인 ‘보구여관’은 의료사업을 시작한지 10개월만에 1137명을 진료했는데 대부분 빈민층이었다.
1890~1893년에는 서울 남대문과 서대문 밖 동대문에 시약소를 설치, 간의 의료사업과 복음의 구심점이 되어 상동, 아현, 동대문에 교회가 설립되었다. 이외에도 평양에 광혜여원을 설치 소외계층을 위해 진료하였고, 해주에 구세병원, 원주에 서미감병원(현 원주기독병원), 개성에 남성병원, 원산의 구세병원을 설립하였고, 공주, 인천, 영변, 철원 등에 시약소 형태의 진료소를 통해 가난하고 소외된 자들에게 의료혜택을 베풀어주었다.
뿐만 아니라 이화학당(현 이화여대)과 정동교회(현 정동제일교회)를 통한 성탄절 구제사업을 통해 가난한 사람들에게 헌금을 모아 쌀지원 사업을 하였고 보호여회(여선교회)를 통해 복음전도, 친교사업 및 빈민구제사업을 하면서 경제적 자립을 위해 노력하였다. 그후 애휼회가 조직되어 순수 빈민 구제사업 단체로 활약하였다.

1910년 일제의 정치적, 경제적 탄압에 따라 보다 복잡해진 사회상황에 맞추어 교회와 사회는 상호 협조하는 시대가 되었다. 즉 교회는 복음의 실천현장으로서 사회를 필요로 하고 사회는 보다 나은 삶의 실현을 위해 교회를 필요로 하였다. 이에 감리교회는 사회신경(Social Creed)를 통해 사회적 관심과 선교의식을 반영하였는데 이는 미국에서 남·북 감리교회로 전파되어진 감리교회가 1930년에 합동하면서 교리적 선언과 더불어 우리 상황에 맞게 개정되어 발표하였다.
동서의 이념분쟁의 결과로 남북 분단과 6.25전쟁이 발발하였고, 감리교회도 3차에 걸쳐 교회분열의 아픔이 있었다. 그 중에서도 사회복지 및 병원, 농촌 사업에 정진하였다.1946년 복흥파 연회의 사회사업은 구체적이었다. 즉 38선 이북에선 온 극빈자녀를 위해 헌금하여 보조하였고, 협동조합 조직사업과 전국연합회에 적극 가입하도록 권장하였고, 금주주간을 정하고 전국적인 금주 운동을 일으켰다.
감리교회는 사회경제적 성장과 교세 성장을 바탕으로 사회사업을 비롯한 전반적인 선교사업에 구체적으로 사역하기 시작했다. 1968년 한국과 미국 감리교회의 온양선교정책협의회를 통해 동역자 관계를 설정하고, 미선교부의 재산을 한국감리교회에 이양하면서 사회복지법인을 설립을 논의할 목적으로 사회사업연합회를 결성하여 1974년에 사회복지재단 규약이 만들어졌다. 당시 노동운동을 전개하던 인천도시산업선교회를 지도하며 노동운동을 전개하던 오글 목사가 반정부 활동으로 추방당하고 감리교회의 분열로 어려움이 있었으나 추후 사회복지사업을 위한 운영독립권을 보장하는 정관을 만들어 사회사업유지재단 이사회가 구성되고, 1984년부터 사회복지법인이 출범하였다.
새로 제정된 감리회 사회신경은 생태계 환경, 가정과 성윤리, 자유와 인권, 평등과 정의, 노동과 분배 정의, 사회복지, 도덕성 회복, 생명공학, 타종교 협력, 평화통일, 세계 평화 등 오늘 한국과 인류 사회가 갖고 있는 문제에 대해 신앙과 실천으로 다가가도록 노력하였다. 이 시기에 들어서 독자적인 사회복지관을 설립 운영하거나 지역단체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는 등 사회선교 사업의 영역을 확대하였다. 사회사업의 확대에 따라 평신도국이 사회평신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사회복지 사업을 사회복지법인 감리회 사회관 재단과는 별도로 현 감리교 주안원로원 부산부녀복지관, 내리양로원을 기본재산으로 사회 복지재단을 추진하여 1995년 12월 창립이사회를 개최하였고, 1996년에 보건복지부로부터 사회복지재단으로 설립인가를 받았다.국가정보화 사업에 따라 보건부의 지원으로 인천 사회복지선교회(구 도시산업선교회)에 감리교 사회복지정보센터를 설립하여 인터넷 서버를 통해 감리교 사회복지정보를 위한 데이어베이스를 구축해 나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