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도나무를 돌보소서
- 날 짜 : 2025년 5월 30일 금요일
- 찬 송 : 570장 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
- 성 경 : 시편 80:8~19 만군의 하나님이여 구하옵나니 돌아오소서 하늘에서 굽어보시고 이 포도나무를 돌보소서 (14)
오늘 시편의 말씀은 이스라엘 공동체의 탄식시입니다. 백성들은 자신들이 처한 절망적인 상황을 탄식하며, 하나님께서 분노를 멈추시고 주의 얼굴빛을 비추사 이스라엘을 회복시켜 주시기를 탄원하고 있습니다.
시인은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을 두 가지로 묘사합니다. 첫째, ‘양 떼’입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이 인도하시는 양 떼와 같았습니다. “우리는 그의 것이니 그의 백성이요 그의 기르시는 양이로다(100:3).” 이스라엘은 목자를 따르지 않는 고집 센 양이었습니다. 그래서 푸른 초장과 잔잔한 물가에서 부족함 없이 먹고 마시는 대신, 적들의 비웃음과 눈물의 양식을 먹고 있다고 말합니다(5~6). 둘째, ‘포도나무’입니다. 하나님은 포도나무를 애굽에서 가져다가 가나안에 심으셨습니다(8). 주께서 가꾸시므로 포도나무는 산과 들에 풍성하게 자랐습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포도나무 담을 허시고, 지나가는 사람들이 포도 열매를 따 먹게 하셨습니다. 시편 기자는 이것을 탄식합니다. 이스라엘은 하나님 안에서 아름답고 풍요로운 열매를 맺었는데, 그 열매를 이방인들에게 빼앗기고 있음을 슬퍼하는 것입니다.
예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나는 참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농부라(요 15:1).” “나는 포도나무요 너희는 가지라 그가 내 안에, 내가 그 안에 거하면 사람이 열매를 많이 맺나니(요 15:5).” 하나님은 포도원의 농부이시고, 예수는 포도나무이며, 백성은 포도 열매를 맺는 가지라는 것입니다. 포도가 열매를 충실히 맺기 위해서는 예수 안에 거하여야 합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떠나신 적이 없습니다. 달구지를 타 본 사람은 압니다. 천천히 움직이는 소달구지 뒤에 걸터앉아 있노라면 길가의 버드나무도 멀어져 갑니다. 길가에 핀 들꽃들도 점점 멀어져 갑니다. 그러나 정말 멀어져 가는 것은 달구지 위의 우리입니다. 우리는 그런 식으로 주님의 곁을 멀리 멀리 떠났습니다. 멀어져 간 것은 우리였을 뿐, 주님은 항상 그곳에, 그 자리에 서 계셨습니다. 하나님 곁을 떠난 것은 이스라엘이었습니다. 오늘 말씀처럼 ‘포도나무를 돌보아 달라’는 것은 하나님께로 돌아가겠다는 우리의 고백이고 다짐입니다.
손인선 목사 _ 대한기독교서회
